본문 바로가기
  • 무적의 태권브이 초합금 재료를 완성하는 그날까지~! 달려~!

분류 전체보기74

IR Table 2023. 11. 8.
페놀 수지 (Phenolic resin) 페놀 수지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 봅시다. 1. 페놀 수지를 만들기 위한 원료 1) 페놀(Phenol) : 50~60℃에서 안정적인 액상 형태이며, 주로 이 온도에서 페놀을 다룬다. 페놀의 주요 물성을 보면, 녹는점(Melting Point)은 약 40.9℃, 끓는점(Boiling Point)은 181.8℃, 분자량(Molecular Weight)은 94.1 이다. 2)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 수용액으로 만들면 포르말린(Formalin)이라 부른다. 냄새도 강하고, 자극적이기 때문에 취급에 매우 조심해야 한다. 3) 촉매: 산 촉매와 염기성 촉매 두 종류 모두 사용한다. 산 촉매를 사용하면 열가소성 수지를, 염기성 촉매를 사용하면 열경화성 수지를 만든다. 산 촉매는 주로 옥살산, 염산 등.. 2023. 10. 28.
성형수축율 (Mold Shrinkage) 플라스틱이 용융되면 이때 내부는 고분자 사슬들이 매우 무질서하게 움직이며 체적이 커지게 된다. 성형된 후 온도가 식어감에 따라 점차적으로 본래의 배열구조로 돌아가게 되면서 체적이 감소한다. 일반적으로 성형수축을 측정하는 방법은 금형내부에 일정한 가는 선을 그어 놓고 이 금형을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재료를 사출 한 다음 금형치수와 성형품의 치수를 비교하여 구한다. 2023. 10. 16.
CNT(carbon nanotube) 도전재 요즘 이차전지 관련해서 많은 이슈들이 있는데 최근에는 CNT 도전재 관련하여 많은 이야기들이 오고 가고 있다.특히 주식투자자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나는 엔지니어 관점에서 CNT 도전재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한다.최대한 사실을 기반으로 말하겠지만, 어쩔수 없이 짧은 지식과 식견이 반영된 나의 사견이 이글에 포함되어 있다..1. 왜? CNT 도전재가 필요할까?         한국어로 도전재( 導電 材)라 하고 영어로는 conductive additive 라고 한다. 전기를 흐르게 하는 물질, 전기를 흐르게 하는 첨가제라는 의미이다. 그러면 리튬이차전지에서 왜 도전재가 필요할까?         그 이유는 이차전지의 양극과 음극 재료를 잠시 살펴보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양극 또는 음극을 만들기 위해서는 .. 2023. 10. 16.
사출 성형 불량 및 대책 - Gate 부근 표면 불량 Cracking, 백화 - 사출 압력이 높게 걸리거나 과충전 시 스트레스의 집중으로 인해 gate 부위, eject pin 부위에 균열이나 백화가 발생한다. 원인 대책 사출기 잔류응력 수지 온도 상승 보압 시간 감소 냉각 시간 증가 금형 잔류응력 금형 온도 상승 빠른 Eject 속도 Eject 속도 감소 Eject 면적 Eject 추가 또는 pin 직경 증가 원재료 - 결정성 수지 고려 Jetting - 비어있는 cavity에 빠른 속도의 수지가 들어갈 경우 수지가 분수 유동을 보이지 못하고 먼저 들어간 수지와 뒤에 들어간 수지의 융합이 좋지 않아 뱀과 같은 모양의 유동 흔적이 고화된 현상으로 제품 표면에 수지가 흘러간 자국이 확인된다. Flow mark - Cavity로 최초에 유입된 수지의 냉각이 너.. 2023. 9. 2.
열전달 초초간단 핵심요약 1. 전도 - 고체내부에서 열의 이동현상 - 물체는 움직이지 않고 열만 이동 - 금속 고체의 경우 열전도는 전자운동에 기인 ∴열전도도≑전기전도도 - 부도체(고체, 액체)의 경우 온도구배에 따른 개개의 분자운동량 전달에 따름 2. Fourier 법칙 1. 단위시간에 단위면적을 통해서 이동되는 열량은 온도기울기에 비례한다. 2. 열전도를 일으키는 추진력은 온도차이다. (열전도도는 온도의 함수) 3. 열전도는 면적과 온도의 기울기에 비례해서 증가한다. 4. 열전도시 저항은 전달면적/두께 에 반비례한다. 즉, 두께에 비례하고 면적에 반비례. ⇒ R=L/(kA) (R=열저항, L: 두께, k: 열전도도, A: 면적) 5. 열전도 속도는 온도차를 저항으로 나눈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 R=△t/R 6. 열전도도가.. 2023. 8. 30.
어쨌든 난 꼰대다. 재료를 개발하는... 재료 개발자로 이제 겨우 20년 정도 살아왔다. 처음에는 일본, 미국, 유럽 등 선진 업체들의 제품을 카피하는 것이 목표였다. 사실은 그 카피도 잘하지 못했다. 이미 철 지난 제품의 제품의 제조 recipe를 로열티를 주고 사 와서 그것을 바탕으로 개발을 진행하면 그나마 나은 편이었다. 이런 상황이니 핵심 소재 개발은 시도조차 못 했었다. 이런 상황에서 더 힘들게 했던건 꼰대들 때문에 힘들었다. 현재는 나도 꼰대 반열에 들었지만..... ㅋ 그 당시 꼰대들.. 이제는 곧 은퇴를 바라고 있을 어르신들... 이 항상 하던 말이.... "이러이러해서 우리는 못합니다." 이런 말을 부끄럽지도 않은지 그냥 매번 하더라구... 같은 소재이고 같은 원료를 사용해서 합성한 제품이고 성능이 유사하거나 더 좋은 국내 업체.. 2023. 8. 20.
플라스틱 성형 해석용 소재 물성과 측정 -2 4. 전단점도(Shear Viscosity) 점도는 응력과 전단속도 간의 비례계수로서 유체가 흐를 때 에너지를 손실하게 되는데 이때 에너지가 손실되는 정도를 의미한다. 즉, 흐름에 대한 저항력으로 이해하면 된다. 고체의 경우 Hooke`s law에 의해 응력과 변형률의 비례상수가 탄성계수이고 유체는 응력과 변형률(전단속도) 간의 비례상수가 점도이다. 성형해석에서 온도 및 속도 변화에 따른 유동특성을 계산하는데 점도 Data가 필요하다. 뉴톤유체의 점도는 온도에 따라 변하는 상수이나 비뉴톤유체(점탄성유체)는 온도 뿐만 아니라 전단속도에 따라 변한다. 즉, Low shear rate에서는 전단속도에 무관하나 High shear rate에서는 고분자 사슬의 Entanglement 풀림 속도가 엉키는 속도보다 .. 2023. 8. 19.
플라스틱 성형 해석용 소재 물성과 측정 -1 1. 열전도도(Thermal Conductivity) 열전도도는 물체 내부의 등온면을 통해 단위시간에 단위면적당 흐르는 열량과 이 방향의 온도구배와의 비를 말하며 물질에 대한 정수이고 온도와 압력에 따라 변한다. 열전도도는 열을 전도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물성으로 성형해석에서는 고온의 용융 수지에서 저온의 금형으로 전달되는 열량, 두께 방향으로 전달되는 열량 등을 계산하여 금형 및 성형품의 온도를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 열전도도가 높은 소재는 단위 온도 차에 대해 전달되는 열량이 크므로 금형에 빼앗기는 열량이 크다. 따라서 충전 중 온도편차가 커지고 사출압도 높아진다. 열전도도는 온도구배 상태에서 플라스틱을 통해 열이 통과하는 양을 측정하여 하기 계산식을 이용하여 열전도도를 계산한다. 열전도도도 측.. 2023. 8. 19.
화공실험 - 기체확산 학부 실험 보고서 입니다. 기체 확산 실험 보고서 인데, 워낙 오래 된거라... 그래도 누군가에겐 도움이 되길 바라며.. 귀차니즘이 발동하여... 그냥 파일로 올립니다. ㅎㅎㅎ 2023. 8.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