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무적의 태권브이 초합금 재료를 완성하는 그날까지~! 달려~!

분류 전체보기74

플라스틱 물성 - 열변형 온도(HDT: Heat Deflection Temperature) 열변형 온도란 특정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최고 한계온도를 보여주는 척도로써 일정 부하에서 임의의 양만큼의 변형이 발생하는 온도를 말한다. 또한 이 시험은 여러가지 수지의 열적 성질을 상대적으로 비교하는 척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어떤 수지를 개발할 때 더욱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측정방법 - 하중에 따라 2가지 방법이 있다. : 264psi(18.6kgf/cm2), 66psi(6.4kgf/cm2) - 시편의 크기에 따라 하중을 계산하여 결정된 하중을 시편에 가한 다음 시편을 오일에 침적하여 3~5분 동안 예열을 하고 오일을 120℃/hr 속도로 가열한다. 오일온도가 상승됨에 따라 시편이 처지게 되는데 0.254mm 처질 때의 온도를 측정한다. 2023. 7. 30.
Gas Chromatography-2 (4) 검출기(Detector) : 가장 좋은 일반적인 정의는 운반기체가 통과하는 장치 1) 일반적인 검출기의 종류 * 열전도도 (Thermal conductivity : hot wire detector, thermistor detector, TCD)) * 불꽃 이온화 (Flame ionization, FID) * 전자포착 (Electron capture, ECD) * 불꽃 광전자 (Flame photometry : flame emission, FPD) * 열이온 (Thermionic : alkal flame, FTD) 2) 검출기의 특성 (Detector Characteristics) A. 감응(Response) : 감응(response)이란 시료에 의하여 생겨나는 신호이다. 이상적으로는 이 응답이 시.. 2023. 7. 30.
Gas Chromatography -1 1. Gas Chromatography의 구성 ① 압력 조정기와 유량계를 부착한 운반 기체의 고압 실린더 ② 시료 주입 장치 ③ 분리 칼럼 ④ 컬럼을 통해 분리된 성분을 검출하는 검출기 ⑤ 검출기에서 검출한 신호를 전환시키고 기록할 수 있는 전위계와 기록기 ⑥ 컬럼, 시료 주입기 및 검출기의 각 부분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는 항온 장치 (1) 운반가스(Carrier Gas) A. 운반가스의 조건 - 충전물이나 시료에 대해서 불활성이고 사용하는 검출기에 적합하여야 한다. - 분리관내에서 시료 분자의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어야 한다. - GC에서 사용 가능한 운반 기체의 조건 ① 순도가 높아야 하고, ② 비활성이어야 하며, ③ 기체의 확산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분자량이 커야 하며, ④ 값이 싸고 독성이 .. 2023. 7. 29.
FT-IR : 분자의 자연 진동수와 IR광의 진동수가 일치할 때 일어나는 IR광의 흡수(2-10Kcal/mole 에너지 필요)를 이용하여 미지의 화합물의 구조를 아는 데 이용한다. 1. 적외선의 흡수 발생 ①복사선의 에너지 = 물질의 진동에너지 준위 ②진동중에 쌍극자 모멘트(μ)의 크기가 변해야 한다. 2. 진동의 종류 분자내에서 적외선 흡수를 일으키는 진동운동의 가장 단순한 형태가 stretching(신축)과 bending(변각)이다 3. 진동 방식 ① n개 원자의 운동수 = 3n 병진운동 ; 3개 진동운동 ; 선형분자 = 3n - 5, 비선형분자 = 3n - 6 회전운동 ; 선형분자 = 2개, 비선형분자 = 3개 ② 실제로 관찰되는 흡수봉우리의 수는 기준진동방식의 수보다 작다. ex) CO2: 기준진동방식의 수.. 2023. 7. 23.
추출(Extraction) 1. 추출 - 고체 또는 액체 형태의 원료 중에 함유된 가용성 성분을 용해하여 분리하는 조작(고-액 추출, 액-액 추출) 2. 추출 공정 - 추제를 사용하여 추질을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것 - 추료(feed, 추출의 원료, 고체 또는 액체의 형태) + 추제(extraction solvent) = 추질(solute, 최종적 분리 물질) + 기타 성분 - 추출상: 추제가 풍부한 상 - 추잔상: 불활성 물질이 풍부한 상 3. 삼각도표 - A: 추질 - B: 원용매(불활성 물질, 기타 성분) - S: 추제 - C: 3성분계 혼합물의 조성 - D: 추제와 추질의 혼합물 조성(추출상) - E: 추질과 원용매가 혼합된 원료(추료) 조성 - F: 추제와 원용매의 혼합물 조성(추잔상) 점 C는 각각의 변에서의 수직 거리에.. 2022. 11. 24.
사출 성형 1. 사출성형기 열가소성 수지에 대하여 사출 성형기는 알갱이로 되어있는 원래의 고분자 재료(granular or pelleted raw plastic)를 용융, 사출, 패킹 및 냉각 사이클을 통하여 마지막 성형 제품으로 바꾼다. 전형적인 사출 성형기는 다음의 주요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1) 사출 시스템(injection system), (2) 유압 시스템(hydraulic system), (3) 금형 시스템(mold system), (4) 체결 시스템(clamping system), (5) 제어 시스템(control system) A. 성형기의 규격 (Machine Specification) 체결 톤수(clamping tonnage)와 사출 크기(shot size)가 흔히 빠르게 열가소성 수지 용 사.. 2022. 11. 19.
비중과 밀도 1. 비중 - 한 표준물질의 밀도와 다른 물질의 밀도와의 비 - 표준물질로는 고체 및 액체의 경우에는 보통 1atm, 4℃의 물을, 기체의 경우에는 0℃, 1atm 에서의 공기를 말한다. 비중은 온도 및 압력(기체의 경우)에 따라 달라진다. 무차원수(無次元數)인데, 고체·액체에 대해서는 그 값이 소수점 이하 5자리까지 밀도와 일치한다. 대부분 비중과 밀도는 그 값이 같다고 생각해도 무방하다. 2. 밀도 - 물질의 단위 부피당 질량 - 물질 속의 원자나 분자 배열의 소밀도(疎密度), 합금이나 혼합물 속의 성분비(成分比) 등을 알아내는 데 이용된다. 넓은 뜻으로는 질량 이외의 각종 물리량의 단위부피당 크기, 단위넓이당 크기, 단위길이당 크기도 말하며, 각각 부피밀도 ·넓이밀도(또는 면밀도) ·선밀도라고 한다.. 2022. 11. 17.
플라스틱 물성 - 용융지수(Melt Index) 고분자의 용융 특성은 제품의 가공성에 직접 관계될 뿐 아니라 제품 물성에 영향을 줌으로 특히 중요하다. 이러한 용융 특성을 나타내는 기준으로 용융지수나 용융 흐름 지수가 사용된다. - 용융지수: 일정한 부하와 온도에서 10분 동안 모세관을 흐르는 수지의 무게 - 용융 흐름 지수: 특정 수지 별로 규정된 부하와 온도에서의 용융지수 용융지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분자량과 분자량분포이다. 폴리올레핀의 평균 분자량은 10,000(왁스 상태)~4,000,000(딱딱한 상태) 정도의 범위를 가지고, 일반적으로 50,000~500,000 정도의 범위를 갖는다. 평균 분자량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하면 정밀한 값을 얻을 수 있지만, 측정이 번거로우므로 이를 대신.. 2022. 11. 16.
리튬이차전지의 전기화학 특성 분석법 (2) 5. 속도 특성(Rate Capability) 측정법 - 정전류 측정법 이용. 충전 혹은 방전 전류값을 변화시켜 가며 이에 따른 전압 고선의 변화를 측정 - C- rate: 전지의 속도 특성 단위. 1시간에 충전되는 전류의 역수 √ 0.1C → 10시간 동안 충전되는 전류의 크기 √ 1C → 1시간 동안 충전되는 전류의 크기 √ 10C → 0.1시간 동안 충전되는 전류의 크기 - 높은 전류(높은 C-rate)에서도 사용 가능 용량 유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전지 내부 저항도 낮추어야 함 ㄴ 전지는 빠르게 충방전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 6. 리튬 이차 전지 저항의 측정 1) 정전류 방전에서의 저항 ① 방전 초기: IR drop, activation polarization 영역 ② ohmic polari.. 2022. 11. 14.
리튬이차전지의 전기화학 특성 분석법 (1) 2012년 "고분자 과학과 기술"에서 '고분자 특성 분석 지상강좌'로 게재되었던 문헌입니다. 이차전지의 전기화학 특성 분석 관련해서 좋은 자료로 생각됩니다. 원문은 "화학공학소재연구정보센터(CHERIC)"에서 학술지 검색하면 무료로 보실 수 있습니다.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23, No. 3 "리튬이차전지의 전기화학 특성 분석법" 문헌 요약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일부 내용은 제가 별도로 추가했습니다. 1. 정전류 시험법 - 일정전류(galvanostatic)를 인가하여 시간에 따른 전압의 변화를 측정하여 특성을 확인하는 방법 - 변화하는 전압의 범위를 제어하면 연속적인 충.방전 실험을 통해 측정 가능 - 방전방향의 전류를 일정하게 흘려주는 경우 전지의 전압이 감소.. 2022. 1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