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무적의 태권브이 초합금 재료를 완성하는 그날까지~! 달려~!

과학 및 공학/전기, 광학, 플라즈마10

Color Filter / Color Resist 1. Color Filter    : BLU(back light unit)에서 나오는 백색가시광선을 RGB화소로 색광으로 변환하는 LCD의 핵심 부품        - 구성요소            ① Glass 기판   ② BM(Black Matrix)    ③ RGB 화소   ④ ITO : 투명전극   ⑤ PI 배향막2. Color Resist       - 감광성 수지에 안료를 분산시킨 감광성 안료분산액       - 기판에 도포하여 노광, 현상을 통하여 원하는 패턴을 형성시킬 수 있음       - Color filter 화소용으로 RGB(red, green, blue), BM형성용으로 black의 4가지의 색으로 구성    * 구성성분           ① 바인더(아크릴 수지) : Base poly.. 2024. 8. 11.
PDP(Plasma Display Panel) 1. AC PDP의 구조 및 발광 원리  PDP의 구조는 아래의 그림에 나타낸 바와 같고, 편의상 상판은 90˚ 회전한 것을 나타내었다. 전면 Glass기판 내면의 동일면상에 평행하는 한 쌍의 선 전극 (Common 및 Sustain Electrode)이 있고, Panel 내부에 Ne + Xe + α가스를 봉입한 구조로 되어 있다. 가스의 혼합비는 각사의 Know-How 기술이며 선폭 및 간격도 독자적인 설계 기술에 의해 결정된다. 구조 및 구동방식도 각 Maker별로 상이한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구동 방식은 일본 후지쯔사에서 개발 ADS (Address Display Separated) 방식이 시발임.  1 TV Field의 Subfield 구간에서 각 Cell의 On/Off는 Address 전극에 .. 2024. 7. 9.
TFT-LCD 1. TFT-LCD 구동 원리 및 구조LCD는 액정의 복굴절(Birefringence)을 이용한 Display 소자로서, 특정 광상의 백색광이 액정 층을 통과할 때 각각의 액정 층은 상이한 두 굴절률을 가지는 복굴절 Film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액정을 통과하여 나온 빛은 파장에 따라 서로 다른 편광 상태를 가지게 되고, 최종적으로 편광판을 통해 우리의 눈에 비치는 빛의 색은 백색이 아니라 특정 파장대가 강한 색을 띄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착색 현상이라 하는데, 착색되는 색은 액정의 △n과 액정 층의 두께(Cell gap) D에 의해 결정된다. 2. TFT-LCD의 정의 및 기능반도체 소자인 TFT를 화소 하나하나에 배열하여 화소 각각을 구동시키는 능동형 LCD이다. TFT-LCD는 스위치가 o.. 2024. 7. 1.
발전기의 원리 전기를 만드는 원리는 모두 동일하다. 직류 (DC, direct)라는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이나 연료전지 등과 같은 방법을 빼고는 교류 (AC, alternating current)라는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모두 발전기를 돌려서 기계적인 힘을 전기적인 힘으로 바 꾸어 주는 것이다. 원자력, 물, 바람, 석탄, 가스(물을 끓여 만든 증기로 회전시키는 터빈을 이용) 등의 1차 에너지를 이용하여 생산하기 때문에 2차 에너지라고 한다. 자석은 양극과 음극을 가지고 있어 서로 같은 극끼리 는 밀어내고 , 반대의 극성을 가진 경우 서로 당기서 붙으려고 한다. 발전기 안에도 고정되어 있는 자석(고정자) 이 있고 , 회전하는 자석 (회전자) 이 있어 서로 밀고 당기면서 회전자석을 회전시킨다. 이때 회전력을 이용하여.. 2023. 12. 4.
전압과 전류 전류(Current) 전압(Voltage) 정의 회뢰의 한지점을 전하(Charge)가 지나가는 비율 즉, 전하의 흐름율(Flow rate) (1A: 1초 동안 1C의 전하가 어느 단면을 지날 때의 전류량) 회로의 서로 다른 두 지점 사이의 전하량의 차이(전위차). 즉, 단위 전하 당 에너지의 비율 (1V: 1J 에너지가 어느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1C 전하를 이동하는데 사용될 때, 두 지점 사이의 전위차 (전압)을 말한다) 부호 I V 단위 A, ampere, amperage V, volts, voltage SI단위 1 ampere = 1C/sec I=Q/t I: 전류, Q: 전하(C, coulomb), t: 시간(sec) 1 volt = 1 J/C V = W/C V : 전압, W : 에너지(J ,.. 2023. 12. 4.
MW플라즈마 특징 ♦ 플라즈마 정의 - Langmuir(1920) : 이온화되어 있는 기체 - 집단행동(collective behavior)을 하는 중성입자와 전하를 띤 입자들의 준중성(quasi-neutral) 기체 ♦ 플라즈마 입자의 운동 - 양전하와 음전하의 국부적인 밀도에 영향을 줌: 원거리 쿨롱 전기력 발생 → 입자운동에 영향 *저압에서 원거리 전자기력이 입자에 미치는 영향이 입자들 사이의 충돌보다 더 큰 경우를 비충돌 (collisionless) 플라즈마라 한다. ♦ 플라즈마의 생성 -생성 조건 1) 충돌입자는 임계치 이상 가속 필요 2) 적당한 충돌 횟수 보장 ☞ 압력과 전압이 중요한 공정변수임 -너무 높은 압력은 평균 자유 행로를 짧게 하므로 입자는 충분한 에너지를 갖도록 가속되지 못함 → 이온화 방해 ♦ .. 2022. 10. 11.
플라즈마 1. 플라즈마란? 물질의 형태는 압력 온도 등 주변조건에 따라 고체, 액체, 기체중의 한 가지 상태를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것을 물질의 상(phase)상태라 한다. 예를 들어 H2O 분자로 구성된 물의 경우, 0℃이하에서는 얼음(고체)이지만 0℃~ 100℃ 사이에서는 물(액체)이 되고, 100℃ 이상에서는 수증기(기체)로 된다. 이러한 상의 변화는 주변의 온도 변화에 의한 분자들의 운동 에너지의 변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자의 운동에너지는 고체, 액체, 기체의 순으로 높아진다. 만약 주변온도가 2000℃ 이상이 되면 H2O 는 H와 OH 혹은 2H와 O 등으로 나뉘어지는 해리(dissociation) 과정을 거쳐, 더욱 고온이 되었을 때, 수소와 산소 원자는 전리(ionization)되어 원자의 구.. 2022. 10. 4.
왜 유리는 자외선을 흡수하고 가시광은 통과하는가? 1. 가시광 가시광 에너지 E = hν = 6.62 × 10 (J•s) × 가시광 진동수 (∼10 Hz) = 4.136 × 10 (eV•s) × (3 × 10 ∼ 8 × 10 ) ≒ 2 ∼ 3 eV * 1eV = 1.6 × 10 J 가시광의 에너지는 유리 금지대인 6 ∼ 7 eV보다 적으므로 유리에 흡수되지 않고, 투과한다. 즉, 창유리를 통해 바깥경치를 볼 수 있다. 유리에 입사된 가시광의 에너지 (hν)가 유리 내 전자를 여기 시킬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리는 2 ∼ 3 eV보다 에너지 간격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자외선 자외선 에너지 E=hν = 4.136 × 10^(-15) (eV•s)× (8 × 10^(14) ∼8 × 10^(16) Hz) ≒ 3 ∼ 300 eV 일반 유리(규산염.. 2022. 10. 1.
자외선 그리고 VUV 자외선이란 자색(보라) 외측에 있는 광선이란 의미로서 파장 400nm ~ 1nm 범위에 속한다. 대부분의 물질은 자외선에 대하여 불투명하고, 구조가 복잡할수록 흡수는 심해진다. 투과한계 파장의 개략치는 다음과 같다. * 아래 주어진 파장이상의 자외선은 통과(투명), 그 파장 이하는 흡수(불투명)된다. - 일반 glass : 350nm (창유리는 350nm 이상은 통과, 350 이하는 흡수 즉 대부분 자외선 흡수) - O2(산소) : 195nm - O3(오존) : 290nm - 수정 : 200 - 180nm - H2O : 185nm - LiF : 120 - 110nm (Xe의 147nm는 통과함) 지구 대기 중 O2나 O3 때문에 자외선이 흡수되어 290nm 이하의 원자외선은 지상에 도달하지 못한다. 그러.. 2022. 10. 1.
유전율 유전율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유전체를 먼저 설명할 필요가 있다. 전계하에서 일반도체는 도체 내의 전자나 이온 같은 하전 입자가 전극으로 향해 이동한다. 그러나 절연체에서는 이동할 수 있는 전하가 없고, 전계 하에서 그림과 같이 일정 방향으로 원자나 분자가 분극한다. 여기서, 분극이란 중성 입자가 양전기와 음전기로 분리하는 현상(polarigation) 을 말하며, 이런 의미에서 절연물은 분극을 유도하는(유전극) 물체라는 의미에서 유전체라 부르기도 한다. 유전율이란 유전체 외부에서 전계를 인가했을 때 유전체가 얼마나 분극을 많이 잘하느냐를 나타내는 상수이다. 아래 그림과 같이 전기량 Q1과 Q2를 기름과 같은 유전체 내에 두면 Q1과 Q2의 전하가 유전 분극 전하와 상쇄하여 줄어든 것처럼 된다. 그 결과 C.. 2022. 9.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