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무적의 태권브이 초합금 재료를 완성하는 그날까지~! 달려~!

분류 전체보기74

플라즈마 1. 플라즈마란? 물질의 형태는 압력 온도 등 주변조건에 따라 고체, 액체, 기체중의 한 가지 상태를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것을 물질의 상(phase)상태라 한다. 예를 들어 H2O 분자로 구성된 물의 경우, 0℃이하에서는 얼음(고체)이지만 0℃~ 100℃ 사이에서는 물(액체)이 되고, 100℃ 이상에서는 수증기(기체)로 된다. 이러한 상의 변화는 주변의 온도 변화에 의한 분자들의 운동 에너지의 변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자의 운동에너지는 고체, 액체, 기체의 순으로 높아진다. 만약 주변온도가 2000℃ 이상이 되면 H2O 는 H와 OH 혹은 2H와 O 등으로 나뉘어지는 해리(dissociation) 과정을 거쳐, 더욱 고온이 되었을 때, 수소와 산소 원자는 전리(ionization)되어 원자의 구.. 2022. 10. 4.
왜 유리는 자외선을 흡수하고 가시광은 통과하는가? 1. 가시광 가시광 에너지 E = hν = 6.62 × 10 (J•s) × 가시광 진동수 (∼10 Hz) = 4.136 × 10 (eV•s) × (3 × 10 ∼ 8 × 10 ) ≒ 2 ∼ 3 eV * 1eV = 1.6 × 10 J 가시광의 에너지는 유리 금지대인 6 ∼ 7 eV보다 적으므로 유리에 흡수되지 않고, 투과한다. 즉, 창유리를 통해 바깥경치를 볼 수 있다. 유리에 입사된 가시광의 에너지 (hν)가 유리 내 전자를 여기 시킬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리는 2 ∼ 3 eV보다 에너지 간격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자외선 자외선 에너지 E=hν = 4.136 × 10^(-15) (eV•s)× (8 × 10^(14) ∼8 × 10^(16) Hz) ≒ 3 ∼ 300 eV 일반 유리(규산염.. 2022. 10. 1.
자외선 그리고 VUV 자외선이란 자색(보라) 외측에 있는 광선이란 의미로서 파장 400nm ~ 1nm 범위에 속한다. 대부분의 물질은 자외선에 대하여 불투명하고, 구조가 복잡할수록 흡수는 심해진다. 투과한계 파장의 개략치는 다음과 같다. * 아래 주어진 파장이상의 자외선은 통과(투명), 그 파장 이하는 흡수(불투명)된다. - 일반 glass : 350nm (창유리는 350nm 이상은 통과, 350 이하는 흡수 즉 대부분 자외선 흡수) - O2(산소) : 195nm - O3(오존) : 290nm - 수정 : 200 - 180nm - H2O : 185nm - LiF : 120 - 110nm (Xe의 147nm는 통과함) 지구 대기 중 O2나 O3 때문에 자외선이 흡수되어 290nm 이하의 원자외선은 지상에 도달하지 못한다. 그러.. 2022. 10. 1.
유전율 유전율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유전체를 먼저 설명할 필요가 있다. 전계하에서 일반도체는 도체 내의 전자나 이온 같은 하전 입자가 전극으로 향해 이동한다. 그러나 절연체에서는 이동할 수 있는 전하가 없고, 전계 하에서 그림과 같이 일정 방향으로 원자나 분자가 분극한다. 여기서, 분극이란 중성 입자가 양전기와 음전기로 분리하는 현상(polarigation) 을 말하며, 이런 의미에서 절연물은 분극을 유도하는(유전극) 물체라는 의미에서 유전체라 부르기도 한다. 유전율이란 유전체 외부에서 전계를 인가했을 때 유전체가 얼마나 분극을 많이 잘하느냐를 나타내는 상수이다. 아래 그림과 같이 전기량 Q1과 Q2를 기름과 같은 유전체 내에 두면 Q1과 Q2의 전하가 유전 분극 전하와 상쇄하여 줄어든 것처럼 된다. 그 결과 C.. 2022. 9. 27.
춘천 애니메이션박물관 + 토이로봇관 유튜브에서 "슬기로운 캠핑생활"님이 올리신 "유명해지기 전에 다녀오세요! 나만 알고 싶었던 숨겨진 가족 여행지 Best 5 | 강원도 당일치기 여행 코스"를 아이와 함께 봤죠.(좋은 여행 장소 많이 알려주는 유튜브 채널입니다. 동영상은 아래에 있으니 참고하십시오.) 이걸 보고 막내가 애니메이션박물관과 토이로봇관에 꽂혀서 주말에 춘천으로 달렸습니다. 일단 애니메이션 박물관 앞에 있는 서면 유아숲 체험원이 있습니다. 원래는 유아만 이용가능 하답니다. 숲속 놀이터 일부 시설은 초딩인 우리 막내도 잠시 이용해도 된다고 해서 잠시 체험을 해봤습니다. 이거 이름이 생각나진 않는데... 전... 유격훈련이 자꾸만 생각나는지... ㅡㅡ^ 애니메이션 박물관 전시물은 홈페이지 참고하시면 많은 도움이 될실겁니다. 토이로봇관.. 2022. 9. 26.
Diameter dependent transparency changes of nanorod-based large-area flexible smart window devices SPD(suspended particle devices) 관련 논문이 있어 간단히 리뷰해봅니다. 영국왕립화학회(RSC)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A에 2018년도에 실린 논문입니다. RSC, J. Mater. Chem. A, 2018, 6, 24157–24165 나름 합성법도 있고 추가 자료도 많아 SPD 이해에 많은 도움이 될만한 자료입니다. 특히 합성법은 reference를 보니 미국 특허를 많이 참고했는데 Research Frontiers Incorporated 라는 회사의 특허를 많이 참고했더군요. 일단 스마트 윈도우를 간단히 설명한 그림이고, 여기에 SPD가 어떻게 구동하는지 보여주네요. Polyiodide nanorod가 전기장에 의해 움직이면서 투명, 불투명해지.. 2022. 9. 22.
디폰, '스마트 윈도우 필름' 개발···투과율 조절, 에너지 절감 등 사용자 맞춤형 디폰은 2021년에 현대자동차에서 분사한 벤처 회사입니다. PDLC로 스마트 윈도우를 개발하고 있으며, 얼마 전에는 R-PDLC(Reverse-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도 개발했다고 하는군요. 기존 PDLC는 전기를 주면 투명해지고 그렇지 않으면 불투명해지는 방식입니다. R-PDLC는 이와 반대로 전기를 주면 불투명, 그렇지 않으면 투명해진다고 합니다. 디폰은 현대차에서 분사한 벤처이다 보니 자동차에 적용될 경우를 많이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자동차 사고나 돌발 상황(전기 계통 문제) 발생 시 PDLC는 시야를 가려버리는 문제가 있지만, R-PDLC는 본래가 투명한 상태이기 때문에 비상 상황에서도 시야 확보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운전자 안전에 많은 도움.. 2022. 9. 21.
국립항공박물관 나들이 코로나 때문에 비행기를 타고 훌쩍 떠나는 여행이 쉽지 않은 상황에 그나마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곳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곳은 김포공항 옆에 있는 국립항공박물관. 기억도 나지 않는, 1~2돌 갓난 아기 때, 제주행 비행기만 타봤던 둘째의 욕구불만(?) 해소를 위해 주말을 이용해 방문했죠. 먼저 건물 앞에 마스코트가 있었는데, 캐릭터가 슈퍼윙스와 비슷해 보이는데.... 일단 사진부터 찍고... 그리고 이제 전시관을 구경하러 갔으나.. 원래 목적은 김포 공항 비행기 이착륙 구경이었기에 일단 대충 휘릭...... 전시관 관련 자세한 사항은 국립항공박물관 홈페이지를 참고하세요. 블랙이글 옆에 숨어 있는 조그만 전시실이 있는데 거기에 오락기(겔러그, 1942)를 무료로 즐길 수 있습니다. 사람이 .. 2022. 9. 14.
콜로이드, 에멀젼 ▣ 콜로이드의 유래    - 19C, graham이 알부민, 카세인 등 수용액이 소금이나 설탕 수용액에 비해 확산속도가 느림을 확인    - 확산속도 빠른 물질은 결정화 용이 → 결정질(crystalloid)    - 확산속도 느린 물질은 결정화 어려움 → 비결정질(colloid) ▣ 콜로이드 분류 1) 분자 콜로이드: 고분자 그 자체가 콜로이드 입자 2) 미셀 콜로이드: 분자가 어떤 배향의 집합을 가지는 입자(미셀) → 저농도로 희석하면 자연적으로 파괴 3) 입자 콜로이드: 액체 또는 고체가 콜로이드 입자 ▣ 현탁액(Suspension): 액체 내의 고체 입자▣ 유화(Emulsion): 액체 내의 액체 입자▣ 거품(포말; Foam): 액체(또는 고체) 내의 기체 방울▣ 콜로이드와 고분자 용액의 차이점:.. 2022. 9. 13.
화학반응공학 대학 시절 화공기사 공부하면서 유용하게 봤던 자료이다.Old는 180쪽이 넘는 자료인데 이론과 문제까지 포함되어 있다.다른 한 문서는 레벤스필 영감책 몇 판인지 모르겠으나(2000년대 초반에 새로 나온 버전임) ch3까지 내용을 정리한 자료이다.요즘은 라떼와 달리 좋은 책과 자료들이 풍부하기에 이런 오래된 자료는 뭐 ....그래도 누군가에겐 필요할지도... 2022. 9.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