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무적의 태권브이 초합금 재료를 완성하는 그날까지~! 달려~!

분류 전체보기74

화학반응과 에너지 엔탈피(H): 어떤 물질이 일정한 압력 하에서 생성되는 동안 그 물질 속에 저장된 에너지  - 엔탈피는 온도, 압력에 따라 다르다.  - 엔탈피가 작은 물질이 안정하다.반응열(ΔH) = 엔탈피의 변화                   = 화학반응이 일어날 때 방출 또는 흡수되는 열반응열과 엔탈피       ΔH (반응열) = ΣΔH생성물 - ΣΔH반응물열화학 반응식H2(g) + ½O2(g) → H2O(l) + 68.3kcal        Q=68.3kcalH2(g) + ½O2(g) → H2O(l) + 68.3kcal        ΔH=-68.3kcal  - 물질의 상태, 반응조건, 온도, 압력이 나타나야 한다.  - 일반적으로 25℃, 1기압이다.  - 계수가 변하면 반응열도 달라진다.2H2(g) + O2.. 2024. 4. 30.
화학평형 가역반응: 외부조건에 따라 정반응, 역반응이 일어나는 반응비가역반응: 역반응이 아주 느리거나 일어나기 어려운 반응평형상태(동적평형상태): 정반응과 역반응의 속도가 같은 상태평형상태의 성질- 반응물질과 생성물질이 동시 존재- 화학반응식의 계수비와 물질의 농도비는 무관- 외부조건이 달라지면 새로운 평형상태: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가 달라진다.- 외부조건이 같으면 항상 같은 평형상태에 도달한다.- 생성물질과 반응물질의 농도는 외부 조건이 변하지 않으면 항상 일정하다.(=평형 농도)- 반응 속도를 알 수 없다.평형상수1) 화학평형의 법칙     - 평형상태에 있는 화학반응에서 생성물질 농도의 곱과 반응물질 농도 곱비는 온도가 일정하면 항상 일정하다.2) 평형상수의 성질     - 온도에만 의존한다. → 반응물질.. 2024. 4. 29.
CNT(carbon nanotube) 도전재 - 3 2. SWCNT 도전재 이제 본격적으로 SWCNT 도전재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SWCNT 도전재를 다루려면 필연적으로 따라오는 것들이 있다. 음극, 그리고 실리콘. 대부분 사람들은 이렇게 알고 있을 것이다. 실리콘을 음극으로 사용하면 부피 팽창이 심해져서 전극이 부풀어 오르는데 이 현상을 막기 위해 SWCNT가 필요하다. 그런데, 왜 SWCNT만 될까? DWCNT, TWCNT 아니면 MWCNT는 그런 효과가 없을까? 그러면 CNT 외에는 대안이 없는가? 이런 질문을 생각해 보는 건 어떨까? 먼저 이론적으로는 실리콘 전극에 대한 보완재로 SWCNT는 완벽하다. 어디까지나 이론적으로....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여러 문제점들이 있다. 먼저 핵심 소재인 SWCNT를 보면, 가격, 품질, 공급 등 모든 부분이 .. 2024. 4. 21.
CNT(carbon nanotube) 도전재 - 2 CNT 도전재 관련 두 번째 글이다. 이번에는 주식투자자들에게 아주 잘 먹힌다는 SWCNT 도전재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특히, 이부분은 기술적으로 상당히 어려운 부분이 많고 앞으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조차 불투명한 아이템인데도, 주식투자 관련 유투버나 블로거들, 심지어 기술 관련 유투버들 마저도 SWCNT 도전재를 무슨 마술봉처럼 이야기 하고 있다. 그래서 적어도 나는 엔지니어 입장에서 SWCNT, 그리고 SWCNT 도전재가 실제 어떻게 다루어 지고 있는지를 이야기하려고 한다. 물론 나는 내가 알고 있는 사실을 기반으로 글을 쓰지만, 어쩔 수 없이 짧은 지식과 식견이 반영된 나의 사견이 이글에 포함되어 있음을 미리 알린다. 1. CNT의 종류 먼저 CNT의 종류를 먼저 알고 가야 한다. 일단.. 2024. 4. 21.
금속 결합 ■ 금속 결합 - 금속의 양이온과 자유전자 사이의 정전기적 인력으로 결합 * 자유전자: 금속의 원자가전자로 고정되지 않고 원자사이를 이동하는 전자, 원자가전자 수와 동일 - 자유 전자 수가 많으면 결합력이 커진다 : Na Na > K - 방향성 없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어 이온, 공유결합력보다 약하다. ◎ 금속의 특징 - m.p, b.p가 높고 비중이 크다. - 은백색의 특유한 광택 - 전기전도성, 열전도성이 좋다. - 뽑힘성과 퍼짐성이 좋다. 2024. 4. 18.
공유 결합, 배위 결합 ■ 공유 결합 1) 공유 결합의 형성 - 원자가 전자를 공유함으로 안정화되는 결합, 비금속 + 비금속 2) 공유 결합의 표시법 - 루이스 전자식 - 구조식: Cl + Cl → Cl-Cl - 옥테트 규칙을 이용한 표시법(ex: O2) : 독립된 옥테트의 전자수 → 8 + 8 = 16 : 현재 전자 수 → 6 + 6 = 12 : 공유 전자 수 → 16 - 12 = 4 3) 공유 결합 에너지 - 두 원자 사이의 공유 결합 1몰을 끊어서 중성 원자로 만드는데 필요한 에너지. 4) 결합 길이와 결합 에너지 - 결합 길이 : 단일 결합 > 이중 결합 > 삼중 결합 - 결합 에너지 : 삼중 결합 > 이중 결합 > 단일 결합. 5) 공유 결합 물질의 성질 - 원자 시이의 결합력은 강하나 분자 사이의 인력이 약해 녹는점.. 2024. 4. 15.
이온 결합 ■ 이온결합 1) 옥테규칙 - 가장 바깥쪽 전자가 8개면 안정 - 최외각 전자가 0족 원소와 같아지면 안정 2) 양이온의 형성 - 1 ∼ 3족 원소, 전자를 잃어서 안정한 전자 배치 ex) Na → [Na+] + [e-] 3) 음이온의 형성 - 6, 7족 원소, 전자를 얻어 안정한 전자배치 ex) Cl + [e-] → [Cl -] 4) 이온 결합의 형성 5) 이온 결합력 - 이온의 전하량이 클수록 이온 사이의 핵간 거리가 짧을수록 이온 결합력은 커짐. 6) 이온 결정의 특성 - 녹는점 끓는 점이 비교적 높고 구성 단위가 분자가 아닌 결정 격자로 되어 있음. - 고체는 전기를 잘 통하지 않으나, 용융 상태나 수용액에서는 전기를 잘 통함. 2024. 4. 15.
건담 시드 프리덤 관람 지난 주말에 건담 시드 프리덤을 극장에서 보고 왔다. 한국 개봉 언제하나 기다리고 있었는데, 갑자기 4월 3일 개봉했다는 소식을 듣게 되었다. 그동안 좀 바빠서 한국 개봉 일정을 못 챙겼더니.... 어느새 개봉을 했네... 개봉일자 미리 알았으면, 시사회 신청도 했을 텐데... ㅜㅜ 일요일에 건담 꿈나무인 막내를 데리고 집근처 극장으로 갔다... 역시 큰 화면에서 보는 건담 격투신은 정말 감동적이었다. 막내는 2시간 내내 온 몸이 찌릿찌릿 했다고 한다. 일단 스토리는 뭐... 건담 시드 답게.. 그저 그렇고... 하지만 전투신은 정말 예술이다. 게다가 빵빵한 사운드에 큰 화면까지... 감동... Imax나 3D 같은 특수관에서 보면 너무나 환상적일 듯..... 막내는 영화보고 나서 감동이 너무너무 넘쳐서.. 2024. 4. 8.
플랜트 기술시방서 • 기술시방서 - 해당 Plant 기자재 구매 및 제작, 운반, 설치, 검사 및 시험, 시운전, 운전원교육 등에 대한 최소한의 기술 규격을 명시 - 특기시방서: 설계 및 제작조건, 구성기기, 재질사양, 공종별 계통, 설비, 공사공종별 규격, 공법, 특수사양 명시 • Code and Standard - Code : 규격, 법규 – 강제적 사양 - Standard : 일반적으로 재료, 제품, 공정 및 서비스가 그 목적에 적합하게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지침, 또는 특성의 정의 형태로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술사양 또는 정밀한 기술기준을 문서화한 것 * 국제표준 -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 IEC(International El.. 2024. 2. 25.
온도 ■ 섭씨 온도(Celsius) : 1 atm에서의 물의 어느점을 0도, 끓는점을 100도로 정한 온도 체계이며 (100등분), 기호는 °C 이다. ■ 화씨 온도 (Fahrenheit) : 물의 어는점을 32도, 끓는점을 212도로 정한 온도체계이며 (180등분), 기호는 ° F 이다. ■ 캘빈 온도 (Kelvin) : 절대온도, 절대온도 0K는 이론적으로 가능한 최저 온도이다 0K는 -273.15°C로 정의한다 . 단위 기호는 K(켈빈)이며 영국인 켈빈(Kelvin)의 머리글자를 딴 것이다. ■ 랭킨 온도 (Rankine) : 캘빈온도(절대온도)를 화씨 온도 단위계로 맞춘 단위로 0°R는 0K와 같으며 1°R의 간격은 1°F와 같다. ■변환공식 °F = °C × 1.8 + 32 °K = °C + 273 .. 2024. 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