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무적의 태권브이 초합금 재료를 완성하는 그날까지~! 달려~!

분류 전체보기74

진공증착 - 증착: 증발한 원자나 분자가 특정 면에 응축하는 것 - 진공 증착: 진공 조건하에서 원자나 분자가 증발하여 온도가 낮은 면에 증발된 원자나 분자가 응축하는 것 - 진공 증착법은 만들고자 하는 박막 물질을 가열하여 증발시키고 그 증기를 원하는 면 위에 부착시켜 박막을 생성한다. - 진공증착장치는 진공장치, 가열장치(증발원) 및 부착면(기판면)으로 구성된다. - 가열장치 1)저항가열방식 고융점의 금속(W, Mo, Ta)으로 제작한 가열기 위에 증착재료를 올려놓는다. 가열기에 전류를 흘리면 가열기의 온도가 상승하며, 이 열로 증착재료를 가열시킨다. 가열된 증착 재료는 증발되어 기판에 증착된다. 이때 가열기의 재료와 그 형태가 박막의 물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박막을 형성하는 증착재료의 증발온도는 보통.. 2022. 11. 10.
전기차에 대한 생각 전기차는 과연 친환경 자동차인가? 이런 생각이 갑자기 들어서... 주저리 주저리 써봅니다. 전기차는 주로 2차 전지를 이용하여 제작되고 있습니다. 2차 전지는 대부분 리튬을 사용한 리튬2차전지입니다. 그런데 의문점이 하나 듭니다? 왜 2차전지를 사용하는 전기차를 친환경이라 할까? 일단 대표적인 환경단체인 그린피스는 일단 내연차보다는 탄소배출량이 적다고 하는데..... https://www.greenpeace.org/korea/update/13651/blog-ce-core-contents-ev/ 자동차 전 과정 분석(LCA, Life Cycle Assessment)를 한 결과와 2019년 발표된 논문 'The Underestimated Potential of Battery Electric Vehicles .. 2022. 11. 2.
증류 공식 모음 증류 공식을 정리한 자료임. 예전엔 화학공학에서 석유화학에서 많이 쓰이기 때문에 아주 열심히 배웠었는데 요즘은 어떨지 모르겠음. 내연기관 자동차는 줄어들고 전기차가 보급되고 있는 상황이니 이젠 유물이라 해야 하나? 그래도 비점을 이용한 액체 혼합물 분리에는 증류는 여전히 쓸만한 방법이긴 함. 어쨌든 누군가 필요할지도.... 그래서 오래된 자료이지만 여기에 남김... 수식이 많아 본문에는 이미지로 대부분 올렸음. 파일 첨부하니 필요하면 다운받도록... 오래된 HWP 파일이라 최신 한글에서는 일부 깨질 수 있음. 누군가에겐 도움이 되길바라며.............. 1) Rault's law ⇒Dalton의 법칙을 적용하면 2) Henry의 법칙과 비휘발도(Relative volatility) 3) 증기압 .. 2022. 10. 22.
표면장력(表面張力, surface tension) 액체는 늘어난 고무풍선같이 수축하려는 막에 둘러싸인 것처럼 행동한다. 이러한 현상을 표면장력이라 한다. 표면장력은 액체의 인력에 의해 기인한다. 모든 분자들은 서로를 잡아당긴다. 중심에서는 모든 방향으로 동일하게 잡아당기지만, 표면에서는 바깥쪽으로 당기는 액체 분자가 없기 때문에 중심 방향으로만 당기게 된다. 분자가 중심으로 모이려 하기 때문에 중심 가까이에 분자 수가 가장 많아지는 모양, 즉 구를 형성하게 된다. 구 이외 다른 모양은 단위 부피당의 표면적이 크다. 그래서 유체는 형태에 관계없이 분자 인력 때문에 유체를 끌어모아서 구를 만들려고 한다. 유체는 표면적을 최소화하려는 것이다. 표면이 수축하는 힘을 측정하는 방법은 한쪽이 움직일 수 있는 철사틀을 유체에 담근 후 꺼내면 철사틀에 막이 생긴다. .. 2022. 10. 21.
유기화학 초간단 요약 - 4 5. 이성질체 5-1. 구조이성질체 1) 탄소의 골격이 다른 경우 2) 작용기가 다른 경우 (1) 알콜 & 에테르 (2) 알데히드 & 케톤 (3) 카르복시산 & 에스테르 3) 작용기의 위치가 다른 경우 (1) 치환기의 위치가 다른 경우 4) 치환기의 상대적 위치가 다른 경우 5-2. 입체이성질체 1) 기하이성질체 - 이중결합이 있는 탄소 원자에 결합된 원자나 작용기의 위치가 다른 경우 2) 광학이성질체 - 비대칭 탄소로 인해 생기는 이성질체 - 거울면에 대한 대칭 6. 고분자 화합물 6-1. 고분자 화합물의 특징 1) 고분자 화합물의 특징 - 분자량이 10000 이상으로 대부분 고체 - 분자량이 일정치 않아 녹는점이 일정하지 않다. - 용매에 녹기 어렵고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하다. - 가열하면 분해된다... 2022. 10. 13.
접촉각 접촉각 이란 액체가 고체 표면 위에서 열역학적으로 평형을 이룰때 가지는 각을 말합니다. 표면과 시약사이에서 이루는 접촉각의 측정은 접착 (adhesion), 표면처리 그리고 폴리머 표면 분석과 같은 많은 분야에서 잘 알려진 분석 기술로서, 수Å 단위의 단일층 변화에도 민감한 표면 분석 기술입니다. 접촉각(θ)은 고체표면의 젖음성(wettability)을 나타내는 척도로서, 대부분 고착된(sessile) 물방울에 의해 측정됩니다. 낮은 접촉각은 높은 젖음성(친수성, hydrophilic)과 높은 표면 에너지를 나타내고 높은 접촉각은 낮은 젖음성(소수성, hydrophobic)과 낮은 표면 에너지를 나타냅니다. 평평한 고체표면에 접촉한 액체의 접촉각은 액체-고체-기체 접합점에서 물방울 곡선의 끝점과 고체 표.. 2022. 10. 12.
유기화학 초간단 요약 - 3 4. 방향족 탄소 화합물 4-1. 방향족 탄화수소 1) 벤젠 (1) 벤젠의 구조 정육각형의 평면구조 - 120˚ 공명구조 (2) 특성 가. 독특한 냄새를 갖는 무색의 액체로 인화성이 크며 인체에 해롭다. 나. 물과는 섞이지 않으며, 유기 용매로 알코올, 에테르 등 유기물질과 잘 석인다. 다. 수소 원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탄소 원자가 많으므로 연소시키면 많은 그을음이 생기고 밝은 빛을 낸다. 라. 불포화도가 매우 크지만 공명 구조로 안정화되어 첨가 반응보다 치환반응이 더 잘 일어난다. (3) 벤젠의 반응 - 첨가반응 2022. 10. 12.
MW플라즈마 특징 ♦ 플라즈마 정의 - Langmuir(1920) : 이온화되어 있는 기체 - 집단행동(collective behavior)을 하는 중성입자와 전하를 띤 입자들의 준중성(quasi-neutral) 기체 ♦ 플라즈마 입자의 운동 - 양전하와 음전하의 국부적인 밀도에 영향을 줌: 원거리 쿨롱 전기력 발생 → 입자운동에 영향 *저압에서 원거리 전자기력이 입자에 미치는 영향이 입자들 사이의 충돌보다 더 큰 경우를 비충돌 (collisionless) 플라즈마라 한다. ♦ 플라즈마의 생성 -생성 조건 1) 충돌입자는 임계치 이상 가속 필요 2) 적당한 충돌 횟수 보장 ☞ 압력과 전압이 중요한 공정변수임 -너무 높은 압력은 평균 자유 행로를 짧게 하므로 입자는 충분한 에너지를 갖도록 가속되지 못함 → 이온화 방해 ♦ .. 2022. 10. 11.
유기화학 초간단 요약 - 2 3. 지방족 탄화수소의 유도체 3-1.알코올 (R-OH) 1) 특성 (1) 명명 - 알칸 이름 뒤에 '∼올' 을 붙인다. (2) 이온화 ×, 중성(염기성 ×)이다. (3) 분자량↑ ▷ 용해도 ↓ (4) 녹는점, 끓는점이 비교적 높다 (∵수소결합) (5) 알데히드를 환원시켜 제조 2) 알코올의 구분 (1) 분자량에 따른 구분 저급알콜 - 분자량 ↓, 상온에서 액체 고급알콜 - 분자량 ↑, 상온에서 고체 (2) OH의 수에 따른 구분 1가 알콜 C2H5OH 에탄올 무색의 향기 있는 액체로 주정이라고도 함. 2가 알콜 C2H4(OH)2 에틸렌글리콜 점성이 있는 액체로 자동차의 부동액으로 쓰임. 3가 알콜 C3H5(OH)3 글리세롤 유지의 성분으로 의약품,화장품의 원료. (3) OH가 결합된 알킬기의 수에 따른.. 2022. 10. 10.
유기화학 초간단 요약 - 1 1. 탄소 화합물 1-1. 정의 생물체의 주요 성분을 구성하는 탄소 화합물은 19세기 초까지만 하더라도 생물체 속에서 생명력에 의해서만 만들어진다고 생각하였으므로, 무생물계에서 얻어지는 무기 화합물과 구별하여 유기 화합물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1828년 독일의 화학자 뵐러가 무기물인 시안산암모늄(NH4CNO)에서 유기 화합물인 요소를 합성한 이후부터 무기 화합물과 유기 화합물의 구별이 무의미 하게 되어, 지금은 유기 화합물을 탄소 화합물이라고 부른다. 1-2. 일반적 성질 ▶ 공유결합분자로 m.p, b.p가 낮다 ▶ 대부분 물과 섞이지 않고 비전해질이다. ▶ 반응속도가 느리다 ▶ 연소하면 CO2와 H2O가 생성된다. ▶ 구성원소의 수는 적으나 화합물은 다양하다. 1-3. 탄소화합물의 분류 1) 결합에 따.. 2022. 10.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