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항목 | Electrochromic | SPD | PDLC | Photochromic |
형태 | 변색물질을 유리 기판에 도포 | SPD가 코팅된 필름을 유리 기판 사이에 삽입 | LC가 코팅된 필름을 유리 기판 사이에 삽입 | 변색 물질을 유리 기판 코팅 |
투과도 조절 | 투명에서 불투명까지 다단계 조절 가능 | 투명에서 불투명까지 다단계 조절 가능 | 2단계: 투명, 불투명 | 2단계: 투명, 불투명 |
전원 | DC 1.5V | AC 30~100V | AC 30~100V | Light source |
변환 속도 | 면적 넓어질수록 속도가 느려짐 (5~10min) |
속도 빠름 (1 ~ 3 sec) |
매우 빠름 (~10msec) |
매우 느림 (1hr ~) |
소비전력 | 매우 낮음 | 중간 | 낮음 | 불필요 |
태양광 투과율 | 5 ~ 80% | 5 ~ 70% | 70 ~ 80% | 60 ~ 80% |
자외선 차단 | >=99% | >=95% | >=98% | 100% |
수명 | >20 years | >20 years | >10 years | 3–5 years |
작동 온도 | -20°C ~ 80°C | -40°C ~ 100°C | -20°C ~ 70°C | - |
용도 | 건축, 자동차, 우주항공 | 건축, 자동차, 우주항공, 해양, 안경, 디스플레이 |
개인정보보호용 유리 회의실용 유리 |
선글라스, 초고분자 화학, 신규 분야 |
Source: Annual Reports, Press Releases, Investor Presentations, Journals, Expert Interviews, and MarketsandMarkets Analysis
스마트 유리의 대표적인 기술 4가지를 비교한 표이다.
변환 속도 측면에서는 SPD와 LC가 강점을 가지지만, 태양광 투과율 폭과 단계별 투과도 조절은 EC가 강점을 가진다.
PC는 전력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에너지 측면에서는 장점을 가진다.
현재까지는 EC, SPD, LC가 상용화에 가장 유력해 보인다. 하지만, 제조 공정의 난이도, 단가 등도 고려하면 어떤 기술이 유력하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PC의 경우 solar cell과 결합할 경우 아주 좋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728x90
'최신 기술 및 응용 > 광가변기술(스마트 윈도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Diameter dependent transparency changes of nanorod-based large-area flexible smart window devices (0) | 2022.09.22 |
---|---|
디폰, '스마트 윈도우 필름' 개발···투과율 조절, 에너지 절감 등 사용자 맞춤형 (0) | 2022.09.21 |
Active Light Control Film for Glass (0) | 2022.08.30 |